기업의 사회적 영일이 확대되면서 인권보호 및 증진에 대한 책임이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공사는 경영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영향력의 중요성을 인지 하고 인권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글로벌 인권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지지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경영가이드라인에 따라 ‘KAC인권헌장과 이행지침’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인권 리스크를 식별하여 개선 활동을 추진하고, 인권관리 전 과정 진행 사항을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인권경영을 실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 국내외 인권원칙 및 가이드라인
UN 세계인권선언
UN 글로벌콤팩트 10개 원칙
ILO 협약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UN 기업과 인권 이행 원칙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 KAC 인권정책
인권헌장
인권경영 이행지침 - 인간의 존엄과 가치 추구
국가기준·규범 지지 및 준수
인권침해 예방 및 구제 노력
이해관계자 다양성 존중 및 차별 금지
결사 및 단체교섭 자유 보장과
아동노동 및 강제노동 금지국내외 노동원칙 춘수와 산업안전 및 보건 증진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고객의 안전과 보건, 개인정보 보호
현지 주민의 인권존중 및 보호
환경 관련 법규 준수 및 환경보호·오염방지
-
리스크 식별 진단리스크 식별 진단임직원 자가점검
KAC 체크리스트(27개) 활용 진단
체크리스트별 결과 분석
관련 리스크 확인
영향력 및 중요도 검토
전담부서추진취약분야 또는 잠재적 리스크 발굴
전사적 인권경영 리스크 정기 점검
다수 부서가 연관된 분야의 인권실태 조사 및
영향평가 추진전사적 추진 및 관리KAC 인권헌장, 이행지침, 체크리스트를 통한
리스크 점검영향력 및 중요도 검토
사업추진 시 인권영향평가 또는 실태조사 시행
-
개선 및 증진 활동개선 및 증진 활동임직원 자가점검
리스크별 개선 사항 도출
개선 사항 및 방법 협의
(전담 부서 또는 외부 전문기관)개선 활동 시행
전담부서추진개선 사항 및 방법 협의, 결과 공유
전사적 인권경영 추진계획 수림 및 지표 관리
교육, 문화 조성 등 인권 감수성 향상 활동
대내외 공유 확산 활동전사적 추진 및 관리리스크별 개선 사항 도출
개선 사항 및 방법 협의(외부 전문기관)
각 사업부서 추진 시 개선 사항 사전 반영, 사후 개선
- 담당부서 ESG경영부
- 연락처 02-2660-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