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
김포공항 물재생센터
공항운영에 따라 여객청사, 화물청사, 업무용 빌딩 및 부대시설 등에서 오수가 일일 약 976ton('21년 기준)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일일 처리 용량 4,700ton의 물재생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 처리방법 : 선회와류식 SBR공법
- 위탁분석 측정주기 : 년 6회(격월시행)
중수처리시설(2,000ton/일) 운영을 통해 공항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중수로 정화하여 재활용('21년 일일 중수 평균 사용량 : 402ton)
물재생센터 옥상의 태양광 설비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적극 활용



방류수 수질분석결과(공사 물재생센터)
구분 | BOD(㎎/L) | SS(㎎/L) | T-N(㎎/L) | T-P(㎎/L) | 총대장균군(개/mL) | 비고 |
---|---|---|---|---|---|---|
법적기준 | 10 이하 | 10 이하 | 20 이하 | 2 이하 | 3,000 이하 | |
2018년 평균 | 1.4 | 4.3 | 3.8 | 0.1 | 0.5 | 기준이내 |
2019년 평균 | 0.4 | 2.2 | 3.0 | 0.0 | 0.5 | 기준이내 |
2020년 평균 | 1.6 | 1.0 | 4.3 | 0.1 | 0.0 | 기준이내 |
2021년 평균 | 4.5 | 2.8 | 6.0 | 0.1 | 2.2 | 기준이내 |
중수도 수질분석결과(공사 물재생센터)
구분 | pH | BOD(㎎/L) | 탁도(NTU) | 잔류염소(㎎/L) | 색도(도) | 대장균군(개/100mL) | 염화물(㎎Cl/L) | 비고 |
---|---|---|---|---|---|---|---|---|
법적기준 | 5.8~8.5 | 5 이하 | 2 이하 | 0.2 이상 | 20 이하 | 불검출 | 250 이하 | |
2018년 평균 | 7.5 | 1.5 | 0.1 | 3.5 | 1 | 불검출 | 171.7 | 기준이내 |
2019년 평균 | 7.3 | 0.4 | 0.6 | 0.5 | 4 | 불검출 | 139.3 | 기준이내 |
2020년 평균 | 6.9 | 1.5 | 0.6 | 1.2 | 10.2 | 불검출 | 104.5 | 기준이내 |
2021년 평균 |
7.2 |
0.9 |
0.5 |
1.0 |
10.3 |
불검출 |
99.4 |
기준이내 |
폐수처리시설
차량 및 장비의 세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일일 처리용량 10톤의 폐수처리설을 운영하고 있음 (처리방법 : 물리·화학적 처리)
- 측정주기 : 년 6회(격월시행)
- 측정업체 : (주)대명환경('21년기준)
폐수처리시설 수질분석결과 (공사 장비관리소)
구분 | pH | COD(㎎/L) | SS (㎎/L) | n-H (㎎/L) | T-N (㎎/L) | T-P (㎎/L) | ABS (㎎/L) | 비고 |
---|---|---|---|---|---|---|---|---|
법적기준 | 5.8~8.6 | 130 이하 | 120 이하 | 5 이하 | 60 이하 | 8 이하 | 5 이하 | - |
2018년 평균 | 7.1 | 1.5 | 1.4 | 0.2 | 3.5 | 0.0 | 0.0 | 기준이내 |
2019년 평균 | 6.9 | 5.5 | 1.9 | 0.0 | 1.2 | 0.0 | 1.8 | 기준이내 |
2020년 평균 | 7.1 | 5.8 | 2.8 | 0.2 | 4.3 | 0.2 | 0.1 | 기준이내 |
2021년 평균 | 7.8 | 10.4 | 8.0 | 0.2 |
2.5 |
0.1 | 0.1 | 기준이내 |
수질자동측정망
1. 개요
시스템명 : 수질 자동측정시스템
2. 위치
김포공항 외곽 지정배수로 2개소(국제선, 경항공기)
공항내 수질감시센터
3. 내용
수질측정국 2개소 운영
수질자동측정을 위한 H/W 및 S/W
Web-Server를 이용한 Network구성
수질감시센터 관리 및 운영
4. 목적
김포공항의 수질상태를 상시 측정 감시하여 김포공항의 방류수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외곽배수로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방류되어지는 수질오염 사고 시 신속한 대처 및 원인 제거
5. 측정항목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부유물질(SS)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표면오일측정기(OIL)
온도(Temp)
6. 측정항목
수질측정기기 | |||
---|---|---|---|
OIL Analyzer | TEMP Analyzer | ||
|
![]() |
|
![]() |
COD Analyzer | SS Analyzer | ||
|
![]() |
|
![]() |
PH Analyzer | DO Analyzer | ||
|
![]() |
|
![]() |
7. 수질자동측정망 수질측정 결과
구분 | 수질분석항목 | |||||
---|---|---|---|---|---|---|
pH | DO | SS(㎎/L) | COD(㎎/L) | OIL | 비고 | |
내부기준 | 5.8~8.6 | - | 120 이하 | 130 이하 | 1,000 이하 | - |
2018년 평균 | 6.7 | 2.7 | 16.9 | 11.5 | 기준이내 | 기준이내 |
2019년 평균 | 7.1 | 3.1 | 10.4 | 17.7 | 기준이내 | 기준이내 |
2020년 평균 | 7.2 | 7.1 | 4.8 | 27.4 | 기준이내 | 기준이내 |
2021년 평균 |
7.3 |
3.3 |
17.0 |
8.6 |
기준이내 |
기준이내 |
8. 유수분리시설
강우시 계류장지역 및 외곽지역 등에서 발생되는 유분을 포함한 초기우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공항내에 9개소의 유수분리시설을 설치 운영하고 있음
계류장지역은 일일 2,198ton의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3개소의 유수분리시설을 설치 하였으며, 공항외곽에는 일일 28,584ton의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총 6개소의 유수분리시설을 설치하였음
9. 외곽배수로 수질측정 결과
공항 외곽 배수로의 오염도 파악 및 환경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위탁분석 실시
- 측정주기 : 년 6회(격월시행)
- 측정업체 : (주)대명환경('21년기준)
구분 | pH | BOD(㎎/L) | COD(㎎/L) | SS(㎎/L) | n-H(㎎/L) | ABS(㎎/L) | 비고 | |
---|---|---|---|---|---|---|---|---|
내부기준 | 5.8~8.6 | 120이하 | 130이하 | 120이하 | 5이하 | 5이하 | ||
2021년 평균 | A | 7.5 | 7.3 | 5.0 | 6.3 | 0.7 | 0.1 | 기준이내 |
B | 7.4 | 3.2 | 5.1 | 8.9 | 0.6 | 0.1 | 기준이내 | |
C | 7.5 | 6.4 | 8.9 | 31.7 | 0.7 | 0.1 | 기준이내 | |
D | 7.2 | 7.7 | 7.5 | 9.9 | 0.6 | 0.1 | 기준이내 | |
E | 7.5 | 3.9 | 2.5 | 6.1 | 0.9 | 0.1 | 기준이내 |
구분 | pH | BOD(㎎/L) | COD(㎎/L) | SS(㎎/L) | n-H(㎎/L) | ABS(㎎/L) | 비고 | |
---|---|---|---|---|---|---|---|---|
내부기준 | 5.8~8.6 | 120이하 | 130이하 | 120이하 | 5이하 | 5이하 | ||
2021년 4분기 | A | 7.6 | 8.3 | 4.1 | 6.4 | 0.8 | 0.2 | 기준이내 |
B | 7.4 | 1.3 | 2.7 | 3.3 | 0.6 | 0.4 | 기준이내 | |
C | 7.5 | 3.8 | 6.6 | 76.9 | 0.7 | 0.3 | 기준이내 | |
D | 7.3 | 1.6 | 3.0 | 4.8 | 0.7 | 0.4 | 기준이내 | |
E | 7.5 | 1.3 | 1.1 | 3.8 | 1.0 | 0.2 | 기준이내 |
※ A-34번초소, B-36번초소, C-16번초소, D-과해동수로, E-항공유저장소
대기관리
대기질 측정결과
구분 | 대기분석항목 | |||||
---|---|---|---|---|---|---|
SO₂ | NO₂ | CO | O₃ | PM-10 | PM-2.5 | |
환경기준 | 0.05ppm (24시간) | 0.06ppm (24시간) | 9ppm (8시간) | 0.06ppm (8시간) | 100(㎍/㎥) (24시간) | 50(㎍/㎥) (24시간) |
2017년 평균 | 0.008 | 0.023 | 1.7 | 0.016 | 54.0 | 29.6 |
2018년 평균 | 0.007 | 0.051 | 0.6 | 0.020 | 46.2 | 23.2 |
2019년 평균 | 0.008 | 0.036 | 0.7 | 0.021 | 47.0 | 22.5 |
2020년 평균 |
0.005 |
0.032 |
0.5 |
0.020 |
36.0 |
14.0 |
2021년 평균 |
0.003 |
0.023 |
0.4 |
0.030 |
24.0 |
11.0 |
차량배출가스 점검
이동지역 운행 차량·장비 현황 : 차량 483대/장비 1,275대(2022.2.15. 기준)
배출가스 측정주기 : 분기 1회 실시
측정대상: 이동지역 내 계류장 운행중인 지자체 미등록차량 및 장비
측정장비 현황
장비명 | 용도 | 보유대수 |
---|---|---|
매연측정기 (OPUS 50) | 매연측정용 | 1 |
CO/HC 측정기 (OPUS 40)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측정용 | 1 |
배출가스측정카메라 | 매연측정용 | 1 |
폐기물관리
폐기물 발생현황
발생된 폐기물은 적정하게 관리하여 전문처리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분리수거를 시행하여 폐지 등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은 최대한 재활용처리를 시행하여 환경오염방지에 노력하고 있음
구분 | 지정폐기물(ton) | 건설폐기물(ton) | 일반폐기물(ton) |
---|---|---|---|
2017년 | 55.70 | 165,006 | 179 |
2018년 | 29.52 | 91,462 | 548.9 |
2019년 | 36.87 | 36,017 | 894.3 |
2020년 |
55.46 |
764,811 |
959 |
2021년 |
90.62 |
755,627 |
1,284 |
토양오염관리
특정 토양오염 관리대상 시설현황
석유류 저장탱크 19기(34,593,210ℓ)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오염 방지조치 | ||
---|---|---|---|
관리대상시설 종류 및 명칭 | 석유류 저장시설 | 조치방법 |
|
용량 | 석유류 저장탱크 19기 (34,593,210ℓ) |
조치내용 |
|
검사항목 및 법적기준
특정토양오염 관리대상시설 | 검사항목 | 기준 | 비고 | |
---|---|---|---|---|
우려기준 | 대책기준 | |||
석유류 저장시설 | 벤젠 | 3 | 9 | |
톨루엔 | 60 | 180 | ||
에틸벤젠 | 340 | 1,020 | ||
크실렌 | 45 | 135 | ||
TPH(석유계총탄화수소) | 2,000 | 6,000 |
토양오염도 검사결과
검사일자 | 검사항목 | 검사대상 | 검사기관 | 검사결과 |
---|---|---|---|---|
2017. 9 | TPH | 8개지점 (3기) |
(재)세종토양연구소 | 적합 (기준이내) |
2018. 11 | TPH | 14개지점 (13기) |
(재)환경보건기술연구원 | 적합 (기준이내) |
2019. 11 | TPH | 8개지점 (3기) |
(재)환경보건기술연구원 | 적합 (기준이내) |
2020. 7 | TPH | 12개지점 (11기) |
(재)환경보건기술연구원 | 적합 (기준이내) |
2021. 8 |
TPH |
8개지점 |
(재)환경보건기술연구원 |
적합 |
실내공기질관리
다중이용시설이란?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3조 "적용대상" 중 공항시설법에 의한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로 김포공항의 국내선 여객터미널 및 국제선 여객터미널이 이에 속한다.
실내공기질 검사
김포공항의 국내선 및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유지기준(분기별) 및 권고기준(연도별) 해당항목을 측정하고 있으며,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녹색제품 구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측정결과
유지기준
구분 | 실내공기질 분석항목 | |||||
---|---|---|---|---|---|---|
PM2.5 | PM10 | CO₂ | HCHO | CO | 비고 | |
50㎍/㎥ | 100㎍/㎥ | 1000ppm | 100㎍/㎥ | 10ppm | ||
2018년 | 27.4 | 40.6 | 616.2 | 14.9 | 0.9 | 적정수준 |
2019년 | 23.1 | 44.5 | 605.4 | 16.4 | 1.9 | 적정수준 |
2020년 | 17.1 | 27.8 | 551.0 | 18.8 | 0.6 | 적정수준 |
2021년 | 15.2 | 32.9 | 522.7 | 14.5 | 0.5 | 적정수준 |
권고기준
구분 | 실내공기질 분석항목 | |||||
---|---|---|---|---|---|---|
NO₂ | Rn | VOC | 석면 | O₃ | 비고 | |
0.1ppm | 148Bq/㎥ | 500㎍/㎥ | ||||
2017년 | 0.03 | 14.8 | 180.4 | 0 | 0.007 | 적정수준 |
2018년 | 0.016 | 30.1 | 236.4 | 0.01미만 | 0.005 | 적정수준 |
2019년 | 0.048 | 26.3 | 57.3 | - | - | 적정수준 |
2020년 | 0.036 | 44.6 | 68.4 | - | - | 적정수준 |
2021년 |
0.009 |
15.9 | 114.8 | - | - | 적정수준 |
※ Rn(라돈) 단위변경 pCi/L ->Bq/㎥ ('11.12.19)
※ 실내공기질 관리법 개정으로 권고기준 항목 변경(석면, O₃ 제외)('18.1.1)
기타관리
환경순찰
대상 공사 및 공항 상주기관·업체
점검지역
- 공항외곽 및 주변지역
- 현장 및 계류장 지역
내용 : 수질, 대기, 폐기물등 현장 관련시설 점검
주기
- 정기점검 : 월 2회
- 수시점검 : 필요 시 또는 사유발생 시
지역환경개선활동(기업실천단)
강서구 지역환경 보전 활동에 체계적이고 자율적인 참여로 지역환경개선에 기여
기업실천단 구성시기 : ‘01. 4(강서구청 주체)
기업실천단 구성 현황 : 한국공항공사 외 17개 기업
기업 기본 활동 목표
지방의제 21 분야별 실천과제 중 기업의 할 일 추진
환경친화적 경영을 통한 환경보전에 기여
지역환경 보전을 위한 예방활동 참여
환경경영정보 및 오염방지 기술교류
기타 환경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제반활동
주요 활동 내용
기업실천단 모임 정례화 : 분기 1회
지역환경개선협의회(공항권역) 개최 및 회의참석
환경의날 및 세계물의날 행사참가 및 환경보전 캠페인 실시
안양천변 갈대 및 물억새 식재사업 참가 등
에너지/온실가스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구분 | 에너지소비량(TOE) | 온실가스배출량(tCO₂) | ||||||||||
---|---|---|---|---|---|---|---|---|---|---|---|---|
계 | 건물부문 | 운송부문 | 계 | 건물부문 | 운송부문 | |||||||
소계 | 전력 | 도시가스 | 석유류 | 기타 | 소계 | 석유류 | 비석유류 | |||||
2016년 | 11,641 | 11,234 | 9,409 | 1,808 | 17 | - | 408 | 204 | 204 | 31,009 | 30,114 | 895 |
2017년 | 17,160 | 16,792 | 13,970 | 2,759 | 58 | 5 | 368 | 207 | 161 | 35,457 | 34,675 | 782 |
2018년 | 18,549 | 18,165 | 15,337 | 2,771 | 53 | 5 | 384 | 174 | 211 | 39,524 | 38,535 | 989 |
2019년 | 18,743 | 18,575 | 16,216 | 2,289 | 63 | 5 | 168 | 168 | - | 39,066 | 38,226 | 840 |
2020년 |
16,803 |
16,632 |
15,413 |
1,196 |
19 |
4 |
171 |
171 |
- |
34,497 |
33,647 |
850 |